지구에서 600km 떨어진 지점은 영하 100도에서 영상 125도까지 오르내릴 정도로 기온 변화가 심하다. 압력, 소리, 산소 등 지구에서 당연시 했던 것들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공간. 나사 직원들은 이러한 극한의 공간에서 허블 우주 망원경 수리 작업에 임하고 있다. 숨소리 이외에는 아무 것도 들리지 않는 고요한 상황, 임무에 열중하던 스톤(산드라 블록)과 매트(조지 클루니) 박사는 지구로부터 갑작스런 통보를 받는다. 러시아 미사일에 의해 위성이 요격되어 엄청난 수의 잔해가 생성되었다는 것. 총알보다 빠른 속도로 돌진하는 파편들은 미처 현장을 벗어나지 못한 일행을 덮치려 한다.
그래비티는 무한하게 광활하지만 극도로 제약된 곳이기도 한 우주에서 벌어지는 재난을 소재로 삼고 있다. 언제 어디서든지 전문가들의 도움과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지상과 달리 주인공들이 위치한 우주는 어떠한 경우에도 오로지 자신들의 능력으로 문제를 해결해야하는 공간이다. 영화는 바로 이 점에 힌트를 얻어 목숨을 위협받는 우주인들의 실감나는 상황을 그려낸다.
광활한 공간에서 위성 잔해물을 피할 수 없는 절체절명의 순간. 파편에 밀려 순식간에 서로의 시야에서 멀어지는 상황을 리얼하게 묘사함으로써 주인공들이 느끼는 공포와 절망감을 고스란히 전달한다.
우주 공간이라는 설정답게 영화를 가장 그럴듯하게 만들어주는 것은 다름아닌 수준급의 CG기술이다. 깜깜한 공간 속에 그 아름다운 빛을 발산하는 지구의 모습과 우주 정거장 내 무중력을 경험하는 배우들의 움직임은 어디까지가 실제이고 무엇이 꾸며낸 것인지 구분하기가 힘들 정도다. 특히 위성 잔해가 임무 수행 중인 이들을 덮치는 장면은 이 영화의 백미.
비록 눈 앞에 지구가 자리하고 있지만 정작 지구와 전혀 다른 고립된 공간인 우주. 아찔한 공간에서 벌어지는 재앙과 그것으로 인한 두려움은 기존의 영화에서 느끼지 못한 색다른 공포를 몰고 온다. 우주에서의 기나긴 여정 끝에 맞이하는 최후의 장면은 끔찍했던 경험과 안도감이 교차하며 깊은 감동을 선사한다. 극중 스톤과 매트 역으로 분한 산드라 블록과 조지 클루니는 자연스럽고 무게감 있는 연기를 통해 그래비티를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어 내며 자신들의 임무를 온전히 소화해낸다.
별점: ★★★★☆
'액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한지 - 천하대전 (2011) - 항우와 유방의 한판 대결 (0) | 2014.10.24 |
---|---|
소스 코드 (2011) - 희생자의 기억을 되살려 과거를 재구성한다 (0) | 2014.10.16 |
신세계 (2012) - 폭력 조직을 둘러싼 전대미문의 프로젝트 (0) | 2014.10.15 |
팬도럼 (2009) - 에이리언의 뒤를 이을 외계인 영화? (0) | 2014.10.13 |
파이브 미너레츠 인 뉴욕 - 흐름을 잃어버린 별난 영화 (0) | 2014.10.13 |